본문 바로가기

IT,컴퓨터 이야기

유튜브 실시간 자막 끄는 법

유튜브를 시청하다 보면 가끔 실시간 자막이라는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시간 자막 기능은 그 이름대로 영상에 포함된 오디오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자막으로 표시해 주는 편의성 기능입니다. 다만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마음대로 활성화되는 경우가 있어 일부 사용자들은 불편을 겪기도 합니다.

 

youtube_autosub
유튜브에 표시된 실시간 자막

실제로 실시간 자막 기능이 활성화되면 사용자가 자막을 원하는지와 무관하게 자동적으로 표시되고, 자막이 필요없어서 꺼버리더라도 자동으로 다시 켜지기 때문에 다소 짜증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게다가 모든 오디오가 완벽히 자막으로 변환되는 것도 아니라서 더욱 짜증스럽죠.

 

오늘은 이 실시간 자막 기능을 끄는 방법을 살펴봅시다.

 

유튜브 실시간 자막 끄는 법

크롬 브라우저 기준으로 실시간 자막을 끄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크롬 메뉴 버튼 선택 후 '설정' 선택

2. 접근성 메뉴 선택

3. 실시간 자막 기능 비활성화

 

각 버튼이나 메뉴가 어디에 있는지 헷갈리시는 분들은 아래 사진이 첨부된 설명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1. 크롬 메뉴 버튼 선택 후 '설정' 선택 

chrome_menu_option
화면 우측 상단 메뉴 선택 후, 설정 버튼 선택

크롬 브라우저 우측 상단, 종료 버튼 바로 아래에 있는 점 3개가 크롬 메뉴 버튼입니다. 

 

크롬 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메뉴가 표시되고, 그 중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설정' 이라는 곳을 클릭하면 됩니다.

 

2. 접근성 메뉴 선택

설정을 클릭하면 새로운 탭에 아래와 같이 크롬 설정 페이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사용한 설정에 따라 조금씩 다른 화면을 보여주는데, 왼쪽 메뉴바에서 '접근성' 메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사진에 빨간색으로 체크되어 있습니다.

 

chrome_autosub_off
크롬 설정, 접근성에서 실시간 자막 비활성화

3. 실시간 자막 기능 비활성화

접근성 메뉴를 선택했다면 위 사진과 정확히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지금까지 유튜브에서 실시간 자막이 표시되었다면, 접근성 메뉴 가장 위에 있는 '실시간 자막'이라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것입니다.

 

해당 기능에 있는 슬라이드 바를 클릭해서 비활성화(회색) 상태로 바꿔주면 더 이상 실시간 자막이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비활성화 상태가 된 것을 확인했다면 설정 창을 바로 종료해도 됩니다. 별도의 '설정 저장' 버튼은 없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간단하게 유튜브 실시간 자막 기능 끄는 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얘네가 기능 테스트 겸 반응을 보려는 건지 가끔 사용자가 직접 활성화하지 않았는데도 이런 편의성 기능이 마음대로 활성화되는 경우가 있는 듯합니다. 테스트하는 건 좋은데 그거 끄려고 찾아다니는 건 사용자 몫이라는 점은 아쉽습니다.